많은 분들이 프리미어프로를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으로 쓰고 있지만 에펙(에프터이펙트) 또한 많이들 배고 있는 추세다. 이같은 현상은 아무래도 동영상 플렛폼이 대세기 때문! 프리미어프로로도 충분히 퀄리티 있는 영상을 만들 수 있지만 아무래도 더 세세하게 고퀄리티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에펙 기초를 배워두면 좋다. 비유를 하자면 프리미어프로가 포토샵급이라면 에펙이 일러스트레이터급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프리미어프로의 상위버전이라고 불리는 만큼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CG작업을 에펙에서 해낼 수 있다. 간한단 합성부터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이나 글자 애니메이션까지 그 범위는 무궁무진하다.

보통 컷편집에서는 프리미어프로! 효과를 넣는 CG작업은 에프터이펙트! 이렇게 많이들 알고 있다. 이것은 사실이다. 정말 컷편집은 프리미어프로만큼 편하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보지 못했고 다양한 효과나 새로운 오프젝트를 만드는 건 에프터이펙트 만한 걸 보지 못했다. 둘다 어도비 회사에서 나온 프로그램이라서 연동이 가능하기에 보통은 프리미어프로에서 컷편집을 해서 에프터이펙트에 불러와서 후반 CG작업을 한다.


에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배워야하는 것은 바로 P,S,R,T라는 것이다. 단축키를 의미한다. 어떤 그림이나 도형, 글자 등 레이어라는 것을 움직여서 효과를 줄때 가장 기초적인 단계다. 에펙에 효과라는 탭에서 사실 더 많은 고퀄리티 CG작업을 해낼 수 있지만 P,S,R,T만 알아도 기본적인 움직임은 왠만하면 다 만들어낼 수 있으니 반드시 에프터이펙트 기초를 탄탄히하고 넘어가는 것을 추천한다. 

 P - 위치이동 / S - 사이즈변경 / R - 회전 / T - 오퍼시티(투명도)

이것은 프리미어프로에도 존재한다. 단축키가 같은건 아니고 효과컨트롤에서 세부조정이 가능하다. 요즘 나오는 프리머어프로 CC 2019 버전에는 PSRT에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고 하니 최신버전을 쓰는 분들은 에펙까지 안와도 가능하다. 


PSTR를 쓰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에펙에서 새로운 컴프를 만든다. 그리고 작업할 사진이나 영상, 오브젝트, 글자를 넣는다. 

컴프를 만들고 글자 또는 사진, 영상을 불러오거나 만들어서 넣었다면 본격적으로 PSRT를 배워보자.

오브젝트를 클릭 후 P를 눌리면 위치변경을 할 수 있다. 값을 조절하면 글자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0초에서 시계모양을 눌려주면 오른쪽 타임라인에 노락색 마름모가 생긴다. 그리고 다시 1.5초에서 상단에 글자를 마우스로 끌거나 값을 조절해 위치이동하면 자동으로 노란마름모가 찍힌다. 


플레이를 해보면(단축키 0번) 글자가 스타트 시점에서 최종점까지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머지 S,R,T도 같은 방식으로 시계모양을 눌려서 크기가 변한다거나 회전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S를 눌리면 사이즈조절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값을 조절하면 크게 혹은 작게 조절이 가능하다. 가로세로 비율을 달리하고 싶다면 값조절 앞에 작은 쇠사슬 모양을 눌리면 고정이 풀린다. 그렇게하고 조절을 하면 가로세로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노란색박스는 중심점 변경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R을 눌리면 회전을 시킬 수 있다. 몇바퀴를 돌릴 수도 있고 세밀한 각도 조절도 가능하다.


T는 오퍼시티! 즉 투명도를 이야기한다. 스스륵하고 나타나게 하거나 스스륵하고 사라지게 하고 싶을때 많이 쓰는 값이다. 전환효과를 만들때도 많이 쓴다. 


에프터이펙트 어렵지 않다. 기본적으로 컴프의 개념과 PSRT만 익혀도 간단한 움직임이 있는 애니메이션 영상을 만들 수 있다. 일단 기초부터 익히면서 타임라인에 대한 이해도가 생긴다면 좀 더 다양한 효과를 시도해 볼 수 있다.


Posted by 두리뭉실이
,

 

광고에서도 많이 쓰이고 유튜브 자막효과로도 많이 활용되는 효과 한 가지를 배워보자. 이 효과는 보이지 않는 투명 박스에서 글자가 올라오는 듯한 효과다. 오퍼시티와 같은 설정으로도 가능하지만 보이지 않는 선위에서 글자가 나타는 듯한 효과는 오퍼시티로 불가능하다. 아주 간단하지만 기본 설정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효과! 포토샵으로 치면 클리핑 마스크 효과라고도 볼 수 있다. 

선위로 올라오는 글자, 선위로 나타나는 글자 또는 박스에서 나오는 글자 만들기 시작!

 차근차근 처음부터 따라하면 쉽게 만들 수 있다. 먼저 에펙을 켜고 도화지인 컴프를 만든다. Ctrl + N을 눌리면 새로운 컴플르 만들 수 있다. 기존 컴프를 수정할 때는 Ctrl + K를 눌리면 수정이 가능하다.

가로세로 사이즈와 프레임 수나 시간 또는 색깔을 결정한다. 이번에는 청록색으로 한번 만들어보았다. 만드시는 분 마음대로 색상은 조절할 수 있다. 녹화된 화면이나 다른 비디오 위에 글자를 올릴때는 일단 컴프를 만들고 비디오를 불러온 다음 그 비디오 위에서 다음 과정을 시작하면 된다.

T를 눌러 글자를 적는다. 위치는 자유롭게 해도 되고 오른쪽 빨간 박스안에 Align를 이용해도 된다. 쉽게 한 가운데로 놓을 수 있다. 글자를 적으면 이렇게 글자 박스가 생긴다. 지금 위에 사진을 보면 글자 박스를 클릭해서 컴프안에 하얗게 박스 둘래가 쳐진것을 볼 수 있다.  빈곳을 클릭해 활성화를 꺼준다.

활성화 꺼주기

그 다음으로 글자를 나타나게 하기위해 박스를 하나 만들어줘야한다.

상단에 박스모양을 클릭하고 화면에 글자를 덮는 박스 모양을 드래그로 만들어준다. 클리핑 마스크처럼 씌울꺼기 때문에 색상은 상관없다. 박스를 만들게 되면 아래 빨간 박스처럼 글자 위에 박스가 들어오게 되고 화면으로 보면 글자는 박스에 가려 보이지 않게 된다. 반드시 이 상태여야 한다.

글자 옆에 매트를 설정한다. 매트는 포토샵으로 치면 클리핑 마스크와 비슷한 것이라고 보면된다. 어떤 매트를 어디에 씌울 것인가에 대해 4가지가 나온다. 위에 레이어에 대해 아래 레이어에서만 설정할 수 있다. 그래서 위치를 글자위에 박스를 만들어 글자가 아래 박스가 위로 오게 한 것!

알파 매트를 첫번째를 클릭!

여기까지왔다면 거의 반이상 성공한 것! 매트 설정과 동시에 글자가 보이고 박스는 사라진 것처럼 화면에 보인다. 하지박스가 사라진것이 아니라 글자가 박스마스크에 씌워진 것이다. 말이 어렵지만 쉽게말해 박스 가이드라인에 글자가 갇힌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글자를 클릭하고 단축기 P를 눌리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설정모드가 나온다. 그리고 오른쪽 빨간 줄을 2초쯤에 두고 타이머를 클릭한다. 왼쪽 빨간박스안에 있는 것이 타이머다. 그러면 노란 마름모가 생긴다.

다음 다시 빨간줄을 앞으로 당겨놓고 왼쪽 빨간박스안에 숫자를 변경한다. 그러면 화면에 글자가 아래나 위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숫자를 올려 글자가 안보일 때까지 아래로 내린다. 타이머를 눌릴필요없이 자동으로 노란 마름모가 생긴다. 숫자 키 0을 눌려서 재생해보면 투명박스 위로 글자가 올라온다.

그런데 좀더 퀄리티 있는 느낌을 주고 싶다면 다음을 따라해보면 된다. 바로 속도조절! 글자가 올라오는 속도를 조절해주면 훨씬 애니메이션느낌을 살릴 수 있다.

드래그를 해서 두개의 마름모에 노란불을 켜준다. 그 다음 F9번을 눌리면 모래시계모양으로 마름모가 바뀐다. 그리고 상단에 노란 박스안에 잇는 그래프 모양을 클릭해준다.

그럼 둥그런 그래프 모양이 나오게 되는데 여기서 아래 빨간 박스의 노란점 중 뒤에 있는 점을 마우스로 끌어서 길쭉한 선을 앞으로 뽑아낸다. 지금 사진에서 보이는 모양도 똑같이 만들면 된다. 그리고 다시 상단 그래프 모양을 눌리면 기존 타임라인 화면으로 돌아간다. 혹시나 상단 그래프를 눌렀는데 다른 모양이 나오면 아래를 참고하라.

스피드 그래프를 클릭해주면 된다. 그러면 둥근 그래프가 나올 것이다.

이제 끝났다! 저장만 해주면 선위로 나타는 듯한 글자 효과가 완성된다. 어디서 어디까지를 저장할 건지 워크에리어를 설정해주고 Ctrl + M을 눌려 렌더를 하면 진짜 끝! 아래와 같은 동영상의 글자가 완성된다!

[선위로 글자 나타내기, 박스안에 글자 넣기, 글자 올라오는 효과] 강좌는 여기까지 입니다:)

Posted by 두리뭉실이
,